분류 전체보기
-
Git 간단한 사용법 - logDev/Git 2019. 7. 9. 11:38
작업한 내용을 커밋으로 계속 생성해 왔다. 그 내역들을 보려면 git log 명령을 사용한다. [~/test] (master) $ git log commit 5b72c2a661f4b09eaa7dd4fe8305633c474b1bc6 Author: I Tips Date: Wed Jul 3 14:33:30 2019 +1000 changes from branch_1 commit 102c053855e0fddbb993b684e44fec65f35ae505 Author: I Tips Date: Wed Jul 3 14:32:21 2019 +1000 third changes commit d18d8f6f53a684ca2bdce055ea6cf4566960f123 Author: I Tips Date: Mon Jul 1 09:0..
-
Electricity Retailers Comparison호주에서 살기 2019. 7. 4. 07:46
The output may not 100% accurate and limited with a few retailers. This is focused on solar panel users which is like me. Above the table was the comparison that I used when selected my electricity retailer in early 2019. I have solar panels that provide 5 kWh and was using Origin’s general plan which I had to pay over $200 per quarter even though my solar pane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aliasDev/Git 2019. 7. 1. 08:14
리눅스의 커맨트 콘솔에서 ~/.alias 파일에 Alias(별칭)을 등록해 놓고 사용할 수 있듯이 Git 자체적으로 Alias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. 우선 따라하기. 1. ~/.gitconfig 파일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없으면 생성하기 [~]$ touch ~/.gitconfig [~]$ vi ~/.gitconfig # This is Git's per-user configuration file. [user] # Please adapt and uncomment the following lines: name = I Tips email = itips119@gmail.com 이전에 커밋을 수행한적이 있었다면 파일안에 [user] 섹션이 이미 존재할 수도 있다. 2. 어쨌든, 제일 아랫쪽에 [alias] 세션을 만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fetchDev/Git 2019. 6. 28. 06:46
지금까지 Git 을 이용하여 로컬의 작업내용을 원격의 repository 에 보관하여 작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 그런데 만약 멀티 유저환경이라면 그래서 누군가가 내가 마지막으로 보관했던 커밋이후에 신규커밋을 추가했다면 내 로컬 커밋들에 그 신규 커밋을 어떻게 반영해야할까? 이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 git fetch 이다. fetch 명령은 타겟으로 지정한 리포지토리의 변경내역을 로컬로 가지고 와서 그 내역들을 HEAD라는 특수한 branch에 담는다. 이 정보를 이용해서 로컬의 작업내역들과 비교할 수 있고 만약 누군가가 생성한 신규 커밋들이 로컬에서 작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. 아래 예제를 참조 1. 현재 log 확인 * git ll 은 git log 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여기서 잠깐!Dev/Git 2019. 6. 27. 07:22
이제 우리는 Git 에서 파일관리를 할때 1. 파일을 등록 / 변경 / 삭제 작업을 하고 2. Git add . 으로 작업한 모든 변경사항들을 등록한 후 3. Git commit 으로 등록한 내용을 저장하고 4. Git push origin master 로 origin이라는 별칭으로 등록된 repository 의 master 브렌치에 로컬에 저장했던 변경사항들을 동기화 시켜 주는 작업을 이해했다. 이를 좀더 설명하면, Git은 로컬의 작업내용을 저장한 commit을 만들기 전에 현재 작업중인 내용과 작업이 완료되어 저장되기 전 단계의 파일들과의 구분을 위해 indexing(색인: 명부에 등록하다 정도로 해석하면 맞을 듯) 만 해 놓을 수 있는데 그게 바로 Git add . 이다. 여기서('.' 은 '모든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remote add originDev/Git 2019. 6. 25. 16:07
Git clone 을 이용해서 원격의 repository 에 있는 파일 변경 정보들을 로컬에 복제했다. 이 때 원격의 repository 를 기본적으로 origin master 라고 부른다. 여기서 'origin' 은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remote branch 에 대한 별칭이며 그외 무엇으로든 변경가능하다. 또한 remote repository 를 한개 이상 추가 하는 것도 가능하다. 3개의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을 위해서 3개의 폴더 생성 [~/test] $ mkdir remote1 [~/test] $ mkdir remote2 [~/test] $ mkdir remote3 세개의 폴더에 각각 들어가서 리포지토리 초기화 세팅 [~/test] $ cd remote1 [~/test/remote1] $ git 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commit --amendDev/Git 2019. 6. 21. 06:42
작업을 마치고 commit 까지 완료했는데 추가 작업이 생겨서 바로 전 커밋에 같이 포함시켜야 할 경우가 종종 있다. 이 때 필요한 Git 명령 그리고 옵션이 바로 commit --amend 이다. 아래 코드 참조. 먼저 최초 수정한 작업이 아래와 같이 있다고 가정한다. [~/test/local] (master) $ echo 'new changes' > index.html [~/test/local] (master) $ git add index.html [~/test/local] (master) $ git commit -m "first change" [master (root-commit) 5ac076a] first change 1 file changed, 1 insertion(+) create mode 1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PushDev/Git 2019. 6. 19. 23:00
이전 Git 간단한 사용법 - Add, Commit 에서 로컬 디렉토리(here) 에 등록했던 변경 사항을 원래의 repository(there 디렉토리) 에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. 1. 원래 repository 확인 [~/here] (master) $ git remote -v origin/home/itips/there (fetch) origin/home/itips/there (push) 2. 변경사항을 원래 repository 에 동기화 [~/here] (master) $ git push origin master Counting objects: 3, done. Writing objects: 100% (3/3), 221 bytes | 221.00 KiB/s, done. Total 3 (delt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