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/Git
-
Git 간단한 사용법 - checkoutDev/Git 2024. 9. 10. 09:50
새로운 브렌치를 생성할 때 '-b' 옵션을 함께 사용한다.$ git checkout -b 작업을 하고자 하는 브렌치로 이동할 때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 $ git checkout 간혹 브렌치를 이동할 때 인덱스 또는 워킹트리가 HEAD 와 달라서 이동이 안 될때가 있다. 특히, 일부 Mac OS 에서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('Makefile' 과 'makefile' 을 구분하지 못하는) 이유로 해서 아래와 같이 브렌치 변경이 안 될 수 있다. $ git checkout branch_berror: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checkout: MakefilePlease commit your changes or s..
-
git reset --hard/--soft <commit>Dev/Git 2020. 2. 19. 14:27
$ git log --oneline dddddddd 18 hours ago itips commit 3 cccccccc 21 hours ago itips commit 2 bbbbbbbb 21 hours ago itips commit 1 aaaaaaaa 24 hours ago itips Merge branch 'master' 위와 같이 커밋들이 쌓여 있다고 가정하자. 작업중 커밋 dddddddd 를 날려버리고 커밋 cccccccc 로 돌아가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cccccccc 를 타겟으로 잡고 hard reset 을 하면 된다. $ git reset --hard cccccc cccccccc 21 hours ago itips commit 2 bbbbbbbb 21 hours ago itips commit 1..
-
Git tagDev/Git 2020. 1. 29. 19:23
git tag 명령을 사용하면 특정 시점에 책갈피처럼 표시를 해두고 해당 커밋을 필요할 때 바로 찾아볼 수 있다. $ git tag -a V-0.1 위와 같이 실행하면 커밋을 생성할 때와 동일하게 태그에 대한 메세지를 남길 수 있는 창이 열린다. 이곳에 태그관련 설명을 적는다. 아래는 자동으로 생성된 메세지, 저장하고 나가면 아래 글들은 자동으로 사라진다. # # Write a message for tag: # V-0.1 # Lines starting with '#' will be ignored. 저장한 후 생성한 태그들을 검색해본다. $ git tag // 또는 $ git tag -l // 또는 $ tag tag --list V-0.1 생성한 태그로 체크아웃을 해보면 아래의 메세지가 뜬다. 해당 커밋을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showDev/Git 2019. 8. 5. 20:17
커밋의 내용을 볼 때는 'show' 명령을 사용한다. 'show' 명령 뒤에 보통 commit 시 생성된 SHA 값을 넣어 해당 커밋의 내역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외에도 tags, blobs, tree 등의 내역을 확인할 때도 사용한다. $ git log commit 048c18c4473cde5d068c892933406775c6456690 (HEAD -> master) Author: I Tips Date: Mon Aug 5 21:07:19 2019 +1000 probably the last changes in the file 위와같은 로그가 있을 때 아래와 같이 변경내역을 확인한다. $ git show 048c18c4473cde5d068c892933406775c6456690 commit 048c18c44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logDev/Git 2019. 7. 9. 11:38
작업한 내용을 커밋으로 계속 생성해 왔다. 그 내역들을 보려면 git log 명령을 사용한다. [~/test] (master) $ git log commit 5b72c2a661f4b09eaa7dd4fe8305633c474b1bc6 Author: I Tips Date: Wed Jul 3 14:33:30 2019 +1000 changes from branch_1 commit 102c053855e0fddbb993b684e44fec65f35ae505 Author: I Tips Date: Wed Jul 3 14:32:21 2019 +1000 third changes commit d18d8f6f53a684ca2bdce055ea6cf4566960f123 Author: I Tips Date: Mon Jul 1 09:0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aliasDev/Git 2019. 7. 1. 08:14
리눅스의 커맨트 콘솔에서 ~/.alias 파일에 Alias(별칭)을 등록해 놓고 사용할 수 있듯이 Git 자체적으로 Alias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. 우선 따라하기. 1. ~/.gitconfig 파일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없으면 생성하기 [~]$ touch ~/.gitconfig [~]$ vi ~/.gitconfig # This is Git's per-user configuration file. [user] # Please adapt and uncomment the following lines: name = I Tips email = itips119@gmail.com 이전에 커밋을 수행한적이 있었다면 파일안에 [user] 섹션이 이미 존재할 수도 있다. 2. 어쨌든, 제일 아랫쪽에 [alias] 세션을 만..
-
Git 간단한 사용법 - fetchDev/Git 2019. 6. 28. 06:46
지금까지 Git 을 이용하여 로컬의 작업내용을 원격의 repository 에 보관하여 작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 그런데 만약 멀티 유저환경이라면 그래서 누군가가 내가 마지막으로 보관했던 커밋이후에 신규커밋을 추가했다면 내 로컬 커밋들에 그 신규 커밋을 어떻게 반영해야할까? 이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이 git fetch 이다. fetch 명령은 타겟으로 지정한 리포지토리의 변경내역을 로컬로 가지고 와서 그 내역들을 HEAD라는 특수한 branch에 담는다. 이 정보를 이용해서 로컬의 작업내역들과 비교할 수 있고 만약 누군가가 생성한 신규 커밋들이 로컬에서 작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. 아래 예제를 참조 1. 현재 log 확인 * git ll 은 git log ..